교과서 소개
선생님과 학생 모두가 행복해지는 교과서!
감동적이고 신선한 제재와 다양하고 생동감 있는 매체 자료, 창의적인 활동이 가득 담긴
창비 국어 교과서로 신나는 국어 수업을 만들어 보세요.
구성과 특징
대단원 제목과 소단원 제목, 대단원에서 공부할 영역을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대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예측해 보고, 수업에 어떻게 참여할지 마음을 새롭게 다져 보자.
대단원 학습 목표와 이 단원에서 공부할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하였다. 이 단원 전체에서 배울 내용을 ‘대단원 한눈에 보기’로 살펴본 다음, 어떻게 공부할지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소단원 제목과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소단원 학습 내용을 포괄적으로 드러내는 그림을 실었다. ‘생각 열기’를 통해 주의를 환기하고 배경지식을 떠올리며 소단원 학습을 시작해 보자.
영영별 특성에 맞게 문학 작품, 학생 글, 활동 과정을 담은 글 등을 다채롭게 제시하였다. 읽기 중 활동, 어휘 풀이 등을 활용하여 바탕글을 내 것으로 만들어 보자.
학습 목표에 이르는 과정과 내용을 내용 활동과 목표 활동으로 나누어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활동을 하며 바탕글을 이해하고 학습 목표에 도달해 보자.
목표 활동에서 배운 내용을 다양한 상황에서 확장해 볼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진로, 적용, 인성 등 특색 있는 활동을 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해 보자.
학기별로 주제를 정해 한 권의 책을 고른 뒤 꾸준히 읽고 다양한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는 ‘함께 읽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책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탐험해 보자.
소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은 관련 활동으로 돌아가 다시 점검해 보자.
소단원 학습 목표를 엮어 재미있게 활동하며 배우는 창의·융합 활동을 제시하였다.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실생활 중심의 활동을 하며 친구들과 즐겁게 어울려 보자.
대단원에서 배운 어휘를 다시 한번 정리하고, 대단원 길잡이에서 스스로 세웠던 계획대로 차근차근 공부했는지 점검해 보자. 이를 통해 대단원의 공부를 차분히 마무리해 보자.
대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읽을거리를 제시하였다. 글을 읽으며 비판·창의·성찰·소통·정보·자료·관계·문화의 힘을 키우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넓혀 보자.
차례
1.신나는 학교생활
[1] 읽기의 생활화 14
• 생활 속에서 책 읽기 16
[2] 핵심 정보를 중심으로 발표하기 32
• ‘새로운 공간 만들기’ 발표 대회 34
창의·융합 활동 50
생각 넓히기 54
2. 마음이 크는 자리
[1] 창조적 재구성 60
• 두근두근 내 인생 / 김애란 62
[2] 고쳐쓰기의 원리 82
• 고쳐쓰기를 부탁해 84
창의·융합 활동 98
생각 넓히기 102
3. 우리말 우리글 사랑하기
[1] 한글의 창제 원리 108
• 세종 대왕에게 직접 듣는 한글 이야기 110
[2] 올바른 발음과 표기 126
창의·융합 활동 142
생각 넓히기 146
4. 세상을 보고 듣다
[1] 매체 자료의 효과 판단하기 152
• 스마트폰의 두 얼굴 154
[2] 매체의 표현 방법과 의도 평가하기168
• 코끼리는 볼 수 있지만, 상아는 볼 수 없다 170
창의·융합 활동 182
생각 넓히기 `86
활동지 190
저자 및 출처 204